수구와 적구가 부딪히고 분리될 때 이루는 각을 분리각이라 합니다. 이론적인 분리각과 당구에서의 분리각은 약간 다릅니다. 그 이유는 당구대의 바닥에 의해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당점, 스트로크의 속도, 큐 각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바뀌게 됩니다. 분리각은 당구에 있어서 기본이자, 핵심요소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해하고, 구장에서 연습을 통해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 놓아야 합니다.
이론적인 분리각
두 개의 구형 물체가 충돌하면, 이론적으로 아래 표와 같은 각도로 서로 분리되며, 두 물체의 분리각 합은 항상 90°를 이룹니다.
두께 | 1/8 | 2/8 | 3/8 | 4/8 | 5/8 | 6/8 | 7/8 |
---|---|---|---|---|---|---|---|
1적구 | 61° | 49° | 39° | 30° | 22° | 14° | 7° |
합 | 90° | 90° | 90° | 90° | 90° | 90° | 90° |
실전 분리각
1적구 분리각
실전에서도 1적구의 분리각은 이론적인 분리각과 항상 동일하게 움직입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1적구는 두께에 따라서 이론적인 분리각과 동일하게 움직입니다.

여기에서 4/8, 1/8 두께를 외워두고, 기준으로 정해 놓으면, 1적구를 컨트롤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4/8두께는 1시 방향, 1/8두께는 2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당점과 분리각
당구에서 분리각은 당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특히, 상하 당점에 따라서 그 차이는 더욱 커집니다.
아래의 그림은 1/2 두께에서 2.5레일 속도로 상중하단 당점에 따른 수구의 진행방향을 나타냅니다.

속도와 분리각
분리각은 스트로크의 속도에 따라서도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아래의 그림은 3/4 두께에서 상단당점으로 2레일, 3레일, 4레일 속도로 진행하는 수구의 분리각을 나타냅니다.

아래의 그림은 3/4 두께에서 중단당점으로 2레일, 3레일, 4레일 속도로 진행하는 수구의 분리각을 나타냅니다.

수구는 1적구와 부딪혔을 때 이론적인 분리각에 가까운 각도로 진행하다가, 작용반작용(반발력)의 효과의 영향력이 소모될 때쯤 당점의 효과에 따라 진행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수구의 속도가 느릴수록 당점의 효과가 빨리 나타나며, 수구의 속도가 빠를수록 당점의 효과는 힘(반발력)이 빠지는 시점에 나타나게 됩니다.
거리와 분리각
동일한 스트로크 속도(2.5레일)에서 상단 당점으로 1적구의 1/2 두께를 겨냥하고 맞혔을 때 수구의 진행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상단 당점으로 1적구를 맞혔을 때는 수구의 분리각이 거의 일정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동일한 스트로크 속도(2.5레일)에서 중단 당점으로 1적구의 1/2 두께를 겨냥하고 맞혔을 때 수구의 진행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중단 당점에서는 가까운 거리에서는 이론적인 분리각에 가까운 각도로 수구가 진행하며, 구르는 회전이 생기는 부분에서는 상단당점에서와 같이 분리각이 거의 일정하게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동일한 스트로크 속도(2.5레일)에서 하단 당점으로 1적구의 1/2 두께를 겨냥하고 맞혔을 때 수구의 진행은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하단 당점에서는 하단 당점의 효과가 나타나는 역회전 영역에서는 90°에 가까운 분리각을 나타내며, 무회전영역에서는 이론적인 분리각에 가까운 각으로 수구가 진행하며, 구르는 회전의 영역에서는 상단당점의 효과와 같은 수구의 진행을 나타냅니다.

원하는 분리각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구와 1적구의 거리에 따라서, 적절한 당점과 스트로크의 속도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